익산군 갑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익산군 갑은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1963년 이리시·익산군 선거구로 통합되기 전까지 존재했던 대한민국의 옛 선거구이다. 백형남, 소선규, 김형섭, 조규완 등이 역대 국회의원을 지냈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익산시의 정치 - 익산시장 선거
익산시장 선거는 1995년부터 8회에 걸쳐 실시된 익산시장을 선출하는 선거로, 민주당, 국민의당, 더불어민주당 등 여러 정당 후보들이 경쟁했으며 조한용, 채규정, 이한수, 박경철, 정헌율 등이 시장을 역임했고, 특히 2014년에는 초접전, 2022년에는 정헌율 후보가 3선에 성공하는 등 정치 상황과 후보 지지율에 따라 결과가 달라졌다. - 익산시의 정치 - 익산시 을
익산시 을은 2004년 익산시에서 분구되어 신설된 국회의원 선거구로, 선거구 경계 조정과 다양한 정당 후보들의 경쟁을 거쳐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다수 승리하였으며, 본 페이지는 선거구의 역사, 경계 변화, 관할 구역, 역대 선거 결과 등을 상세히 다룬다. - 전북특별자치도의 폐지된 선거구 - 고창군 갑
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,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, 김수학, 정세환,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. - 전북특별자치도의 폐지된 선거구 - 군산시 (2000년 선거구)
군산시 (2000년 선거구)는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계기로 군산시 갑, 군산시 을 선거구가 통합되어 신설되었으며, 2000년부터 2024년까지 군산시 전역을 관할하다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폐지되었다. -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- 단양군 (선거구)
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, 조종승, 장영근,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. -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- 고창군 갑
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,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, 김수학, 정세환,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.
익산군 갑 - [선거구 정보]에 관한 문서 | |
---|---|
선거구 정보 | |
이름 | 익산군 갑 |
의회 | 국회 |
큰 지도 | 전라북도 |
연도 | 1948 |
폐지 | 1963 |
유형 | 국회 |
이후 선거구 | 이리시·익산군 |
의원수 | 1인 |
2. 역사
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익산군 오산면, 북일면, 황등면, 금마면, 왕궁면, 춘포면, 팔봉면, 삼기면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.
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이리시, 익산군 을 선거구와 통합되어 이리시·익산군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.
3. 역대 국회의원
3. 1. 역대 국회의원 상세 정보
3. 1. 1. 백형남 (1948년 ~ 1950년)
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동청년단 소속으로 당선되었다. 1950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국민당 소선규 후보에게 패배하였다.3. 1. 2. 소선규 (1950년 ~ 1958년)
민주국민당 소속 소선규는 1950년 선거와 1954년 선거에서 익산군 갑 지역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. 그는 익산 지역 발전을 위해 노력하였으나, 자유당 독재에 맞서 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. 1958년 선거에서는 자유당 김형섭 후보에게 패배하였다.3. 1. 3. 김형섭 (1958년 ~ 1960년)
1958년 선거에서 자유당 소속으로 김형섭 의원이 당선되었다. 김형섭 의원은 이승만 정권의 독재 정치에 협력하며 지역구 관리에 힘썼으나, 4.19 혁명으로 자유당 정권이 몰락하면서 정치적 영향력을 상실했다.3. 1. 4. 조규완 (1960년 ~ 1963년)
1960년 민주당 소속으로 익산군 갑에서 당선되었다. 4.19 혁명 이후 민주당 내 신파와 구파의 갈등 속에서 정치적 혼란을 겪었으며, 5.16 군사정변으로 의원직을 상실하였다.4. 역대 선거 결과
후보 | 정당 | 득표수 | 득표율 |
---|---|---|---|
백형남 | 대동청년단 | 12,569 | 41.06% |
소선규 | 한국민주당 | 9,868 | 32.23% |
김병기 | 대한독립촉성국민회 | 5,490 | 17.93% |
송병채 | 한국민주당 | 2,681 | 8.75% |
합계 | 30,608 | 100% |
후보 | 정당 | 득표수 | 득표율 |
---|---|---|---|
소선규 | 민주국민당 | 7,303 | 21.95% |
김원중 | 무소속 | 6,728 | 20.22% |
김양수 | 무소속 | 4,722 | 14.19% |
서재권 | 무소속 | 3,673 | 11.04% |
천길선 | 무소속 | 3,167 | 9.52% |
백형남 | 대한국민당 | 3,156 | 9.48% |
송윤식 | 무소속 | 1,359 | 4.08% |
홍순채 | 신사회 | 950 | 2.85% |
홍금길 | 무소속 | 787 | 2.36% |
차재길 | 사회당 | 644 | 1.93% |
박형하 | 사회당 | 398 | 1.19% |
이우영 | 무소속 | 374 | 1.12% |
합계 | 33,261 |
후보 | 정당 | 득표수 | 득표율 |
---|---|---|---|
소선규 | 민주국민당 | 15,601 | 42.46% |
김형섭 | 자유당 | 13,410 | 36.50% |
신정묵 | 무소속 | 7,727 | 21.03% |
합계 | 36,738표 | 100% |
후보 | 정당 | 득표수 | 득표율 (%) | |
---|---|---|---|---|
김형섭 | 자유당 | 22,070 | 53.12 | |
소선규 | 민주당 | 19,472 | 46.87 | |
합계 | 41,542 | 100 |
후보 | 정당 | 득표수 | 득표율(%) |
---|---|---|---|
조규완 | 민주당 | 17,222 | 44.73 |
임익두 | 무소속 | 9,672 | 25.12 |
박지근 | 무소속 | 7,330 | 19.04 |
송기만 | 사회대중당 | 4,273 | 11.09 |
합계 | 38,497 | 100 |
4. 1.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(1948년)
후보 | 정당 | 득표수 | 득표율 |
---|---|---|---|
백형남 | 대동청년단 | 12,569 | 41.06% |
소선규 | 한국민주당 | 9,868 | 32.23% |
김병기 | 대한독립촉성국민회 | 5,490 | 17.93% |
송병채 | 한국민주당 | 2,681 | 8.75% |
합계 | 30,608 | 100% |
4. 2.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(1950년)
후보 | 정당 | 득표수 | 득표율 |
---|---|---|---|
소선규 | 민주국민당 | 7,303 | 21.95% |
김원중 | 무소속 | 6,728 | 20.22% |
김양수 | 무소속 | 4,722 | 14.19% |
서재권 | 무소속 | 3,673 | 11.04% |
천길선 | 무소속 | 3,167 | 9.52% |
백형남 | 대한국민당 | 3,156 | 9.48% |
송윤식 | 무소속 | 1,359 | 4.08% |
홍순채 | 신사회 | 950 | 2.85% |
홍금길 | 무소속 | 787 | 2.36% |
차재길 | 사회당 | 644 | 1.93% |
박형하 | 사회당 | 398 | 1.19% |
이우영 | 무소속 | 374 | 1.12% |
합계 | 33,261 |
4. 3.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(1954년)
후보 | 정당 | 득표수 | 득표율 |
---|---|---|---|
소선규 | 민주국민당 | 15,601 | 42.46% |
김형섭 | 자유당 | 13,410 | 36.50% |
신정묵 | 무소속 | 7,727 | 21.03% |
합계 | 36,738표 | 100% |
4. 4.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(1958년)
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익산군 갑 선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.
4. 5.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(1960년)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